티스토리 뷰

 

 

플랫폼(platform): 제품이 작동하게 만드는 기능적인 역할

포스처(posture): 사용자에게 보이는 모습

 

  • Platform
    Desktop Software
    Website and web application
    Mobile like phone, tablet, digital camera and etc..
    Kiosk
    Car dashboard
    Home entertainment system like a set-top box, home theater, etc


    많은 회사의 프로세스는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정한 후에 인터랙션 디자이너를 투입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랙션 디자이너가 먼저 작업을 끝낸 후에 플랫폼을 결정하는 것으로 순서를 바꾼다면 전체적으로 더욱 효과적인 작업 프로세스로 개선할 수 있다. (p.264)

 

  • Posture
    Product posture
    Desktop posture
    Web posture
    Mobile posture
    The other platform posture

    포스처는 소프트웨어가 갖는 모든 행동적인 모습의 일부분이다. (p.265)

 

Product Posture
제품 포스처

제품의 모습과 행동에서도, 모양과 분위기는 단순히 미관적 결정뿐만 아니라 제품의 작동과 행동에 근거해 선택해야 한다. 어떤 미관적 선택을 하든지 포스처와 조화를 이루는 범위 내에서 결정해야 한다.

 

포스처를 이야기할 때는 전체적으로 제품의 가장 두드러지는 포스처를 정의하는 동시에, 사용 환경에 따른 개별 기능의 포스처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Desktop Posture
데스트탑의 포스처

  • 독재적 포스처 Sovereign posture
  • 일시적 포스처 Transient posture
  • 데몬형 포스처 Daemonic-posture

 

독재적 포스처

장시간 사용자의 집중을 독점해야 하는 프로그램
사용자에게 필요한 많은 기능을 한 공간에서 동시에 제공한다.
화면은 최대화해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독재적 제품은 보통 기본적인 도구로서 사용자의 작업 흐름을 주도한다.

ex) Word, Spread sheet and E-mail

 

  • 중급자를 주요 사용자로 선정하라
    서툰 초보자만을 위한 너무 쉬운 툴로 만들지 말라는 것. 초보자들이 학습하기에 또 너무 어려우면 안 되겠다.

  • 화면의 공간에 여유를 부려라
    대부분 전체화면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화면에 최적화하고 화면 전체를 여유롭게, 담대하게 사용해야 한다.

  • 시각적 스타일을 최소로 적용하라
    지나친 치장보다 전체적 구성을 균형 있게 잡아주고 탄탄하게 모아준다.
    독재적 인터페이스는 시각적 스타일에 보수적으로 접근하라 (p.268)

  • 풍부한 시각적 피드백
    인터페이스에 작은 정보 조각을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타이틀바, 스크롤바, 상태바 등을 곳곳에 배치한다. 또 업무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힌트를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하기도 한다.

  • 풍부한 입력장치
    사용자가 어떤 자세로 의자에 앉고, 어떤 방식으로 책상에 손을 올려놓으며, 어떻게 마우스 패드에서 마우스가 움직이는지 등 사용자의 자세나 상황을 가정해보고, 그에 맞추어 사용자가 입력하기 쉬운 화면상의 위치가 어디인지 추측해야 한다.
    독재적 애플리케이션은 풍부한 입력장치를 최대한 활용한다.

  • 문서 중심 프로그램
    대부분의 독재적 애플리케이션은 문서 중심적이다.

 

일시적 포스처

ex) 스캔 기능, 파일 저장 시 대화 상자, 스피커 볼륨 컨트롤 등 그러니까 한마디로 대화 상자

하나의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잠시 등장했다가 빠르게 사라진다. 일시적 애플리케이션의 기본적 성향은 이들이 갖는 '일시성'에 있다.

일시적 프로그램은 간단하고 깔끔하며 직설적이다.

대부분은 독재적 프로그램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일시적 프로그램은 독재적 프로그램의 특정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소화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대담한 색상을 사용한다거나 넉넉하게 화면의 공간을 사용하면 효과적인 정보 전달에 도움이 된다.

  • 더 밝고 명확하게
    표면에 드러나는 컨트롤의 크기와 비율은 상대적으로 훨씬 더 크고 대담하다.
    이런 대담한 그래픽은 애플리케이션을 여는 순간 재빨리 사용자를 새로운 프로그램 환경에 적응시키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일시적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는 직접적이고 공격적으로 다가갈 필요가 있다.

  • 더 간단하게
    사용자의 시선이 창 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한다. 사용자의 미세한 조작 능력은 최소로 요구한다.

    일시적 프로그램은 단일 창으로 제한돼야 한다.

  • 사용자의 선택을 기억하자
    일시적 프로그램이 마지막으로 열렸을 때를 기억했다가, 다음번에 열 때 같은 크기와 같은 위치로 프로그램을 열 수 있어야 더 편리하다고 느낀다.

 

데몬형 포스처

ex) Print Driver, Network Connection

데몬형 프로그램은 그 모습을 숨기고 컴퓨터가 켜져 있는 동안 본인만의 프로세스를 조용히 진행한다. 사용자는 마치 일시적 프로그램을 다루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될 것이다.

 

 

Web Posture
웹의 포스처

  • 정보 중심 웹사이트 포스처
  • 정보 교환 웹사이트 포스처
  • 웹 애플리케이션 포스처

정보 중심 웹사이트 포스처

가장 크게 신경 써야 할 부분은 크게 비주얼과 레이아웃, 내비게이션 요소와 사이트 구조(정보 설계)로 나뉜다.

Peter Morville이 제시한 Findability(발견 가능성): 사이트 내의 특정 정보를 차기 쉽게 해주는 것.

 

  • 독재적 성향과 일시적 성향의 균형
    제한된 정보를 보여주는 사이트는 1. 유용한 정보를 적절한 밀도로 보여주고 2. 초보자와 익숙지 않은 사용자를 위해 검색이 쉽고 배우기 쉽게 만들어야 한다.
    많은 정보를 보여주는 사이트에는 보통 독재적인 성향과 일시적인 성향이 함께 공존한다. 어떤 성향이 우세한지는 대상 퍼소나가 누구인지, 행동 패턴이 어떤지에 달려있다.

    사용자 방문 주기를 관찰함으로써 사이트가 얼마만큼의 독재적 포스처를 갖는지 알 수 있다.

  • 독재적 성향
    세부적인 정보 표현은 독재적 성향을 띠는 애플리케이션에서 가방 빛을 발한다.
    웹에서는 디자인을 최적화하려면 어떤 해상도가 가장 적합한지 초기에 결정을 내려야 한다. 1차 퍼소나가 쓰는 가장 흔한 화면 크기에 디자인을 최적화해야 한다.
    ex) "퍼소나에 해당하는 사용자 중 몇 명이나 800x600 해상도를 사용하고 있는가?"
  • 일시적 성향
    주요 퍼소나 방문 빈도가 낮을수록 일시적 성향을 띤다.
    간헐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사이트는 내비게이션의 용이성에 특별히 신경 써야 한다. 사용자의 마지막 방문, 무엇에 관심을 가졌는지 등을 쿠키나 서버 정보를 이용해 기억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관성이 높은 정보를 나열한다.

 

정보 교환 웹사이트 포스처

ex) 온라인 쇼핑몰, 금융 서비스 사이트 등 Amazon

일시적 특징: 필요한 만큼만 사용한다.

 

 

웹 애플리케이션 포스처

같은 데이터와 기능을 클라우드로부터 노력 없이 접근하게 해주는 상당한 가치는 가진다.

 

  • 독재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적합한 방법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기능을 만들어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Proto.io / Jira

    디자이너로서 데스크탑용 프로그램을 디자인하는 마음으로 임하는 것이 좋다. 기술적 한계는 무엇인지, 시간 안에 얼마만큼 만들어낼 수 있는지, 예산은 얼마인지 등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여러 페이지를 왔다 갔다 하는 혼란 없이 한 공간 안에서 모든 것을 해결한다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사용자는 브라우저에 띄워진 웹사이트에서 실질적인 기능을 하는 다양한 인터랙션을 기대하지 않는다.
  • 일시적인 웹 애플리케이션
    보통 기업용 소프트웨어에서 많다.
    위치 표시와 내비게이션
    각기 다른 대상 퍼소나가 같은 정보에 다양하게 접근해야 하는 경우

 

 

Mobile Posture
모바일 기기의 포스처

  • 위성 포스처
  • 독립적 포스처

위성 포스처 (satellite posture)

위성 포스처는 데이터의 검색과 조회를 강조한다.
극도로 휴대용인 e북 리더, 아이팟 나노 같은 디지털 오디오와 동영상 전용 플레이어 같은 컨텐츠 중심 전용 모델이다.
좋은 예로는 삼성 기어 스마트 워치, 구글 글래스가 있다.


독립적 포스처 (Standalone posture)

이 모델을 같은 어플리케이션은 독재적, 일시적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속성을 가지고 있다.

*태블릿은 대부분 앱의 독재적 성향을 강화한다.

 

 

 

 

그 외 플랫폼의 포스처에는
키오스크,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등이 있는데, 이 중 자동차 인터페이스 포스처가 가장 흥미로웠다.

 

자동차 인터페이스는 안전 문제가 있기 때문에 고려해야 할 점이 많다. 운전자의 산만함을 최소화해야 하고 그렇지만 동승자가 있을 경우는 시스템을 집중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일시적으로만 만들어서도 안된다.

자동차 시스템의 경우 일시적 UI와 더 비슷하게 디자인해야 한다. 명료하고 단순하며 한눈에 읽힐 수 있다.

 

 

 

인터랙티브 제품을 디자인할 때 포스처와 플랫폼의 기본 틀은 아주 초기에 결정해야 한다.

댓글